줄거리 및 등장인물
넷플릭스 드라마 <경성크리처>는 1945년 봄, 벚꽃이 필 무렵에 등장인물들이 괴물과 맞서게 되는 이야기이다.
등장인물로는 전당포 금옥당을 운영하는 장태상(박서준)과 토두꾼인 윤채옥(한소희)을 중심으로 이어지며 그 외 마에다 유키코(수현), 나월댁(김해숙), 윤중원(조한철), 권준택(위하준) 등이 있다.
전당포 금옥당의 대주 장태상은 어느 날 경무국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게 된다. 그 이유는 바로 경무관의 애첩인 기생 유키코가 실종되었기 때문이었다. 경무관 이시카와는 정보통인 장태상에게 유키코를 찾아내라 말하며 벚꽃이 지기 전까지 유키코를 찾아내지 못할 경우 그의 모든 것을 빼앗겠다고 협박한다.
장태상은 그가 가진 것을 잃지 않기 위해 유키코가 있는 곳을 찾아내려 하고, 이 과정에서 토두꾼이라 불리는 윤채옥과 그의 아버지인 윤중원과 인연을 맺게 된다. 곧이어 그들은 옹성병원에서 단서를 발견하게 되고 옹성병원으로 몰래 들어가게 되는데 거기에서 마루타 실험으로 만들어진 괴물을 보게 된다. 일본군들이 조선 사람들을 대상으로 끔찍한 실험을 이어나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그들은 유키코뿐만 아니라 감옥에 갇혀있는 조선 사람들까지 구출하려 한다.
<경성크리처> 파트 1,2 줄거리에서는 단순히 괴물과 싸운다는 단편적인 내용만 담긴 것이 아닌,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을 간접적으로 느끼게 되는 장면들이 이어지며 사실감을 더하는 스토리가 이어진다.
역사적 배경
<경성크리처>는 1945년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전개된다. 광복 5개월 전인 3월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본 드라마에서 마루타 실험을 하는 일본군은 실제 731부대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731부대는 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인간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을 진행하고 각종 생화학무기개발과 같은 일을 하던 일본 육군이었다. 인체실험의 대상을 많이 알고 있는 마루타라고 불렀는데, 전쟁 포로였던 중국인에 더해 한국, 미국, 러시아 등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이 이루어졌고 희생되었다. 실제로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도 731부대를 검색하면, 모형이긴 하지만 당시의 만행을 보여주는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본 드라마에서 등장인물들이 살기 위해 괴물과 맞서 싸우는 장면이 나오긴 하지만 사실 그 괴물 또한 희생양인 것이다. 실험으로 인해 본모습을 잃고 괴물로 변하게 되고, 또 자신이 인간이었을 때의 기억조차 잃게 되며 안타까움을 자아내기도 한다.
시대적 아픔을 포함하고 있는 <경성크리처>는 당시 시대적 배경과 일본군의 만행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일본에서 외면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한 기사에 적힌 강은경 작가의 말에 의하면 넷플릭스 내 일본 순위 자체가 높고 일본 10대들의 731 부대 관련 구글링 또한 늘고 있다 말하며 '하길 잘했다'라고 했다.
리뷰
넷플릭스에서 어떤 걸 볼까 고민하던 중 우연히 눈에 띄어 재생 버튼을 눌렀는데, 정신 차려보니 파트 1의 모든 에피소드를 다 보게 되었다. 이후 파트 2가 나오길 기다리다 나온 당일에 파트 2 또한 늦은 새벽까지 보며 하루 만에 완결까지 봤다. 그만큼 매 에피소드마다 다음에 어떻게 이야기가 전개될지 궁금했고 지루하게 늘어지는 부분 없이 끝까지 재밌게 봤다.
아쉬운 부분이라면 분명 초반에 본 괴물은 머리도 좋고 능력도 최상이라 할 만큼 만능의 존재라고 느껴졌는데 중반부에는 극 중 긴장감을 위해서인지, 또 주인공을 살리기 위해서인지 능력이 약해지는 듯한 장면이 있었다. '초반에 봤던 괴물이라면 이렇게 바로 해치웠을 텐데 왜 촉수를 쓰지 않지?', '왜 장거리에서도 충분히 싸울 수 있을 것 같은데 가까이에 와서 싸우려고 하지?' 같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장면이 드라마를 보는 데에 크게 거슬리는 부분은 아니었고 오히려 괴물이 등장인물들을 바로 해치우지 못함으로 인해 더 극적인 장면이 나올 수 있던 것 같기도 하다.
또한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더 몰입해서 보게 되는 점도 있었는데, 등장인물들이 일본군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고 동료들을 배신하게 될 때, '나는 과연 저 상황에서 배신하지 않을 수 있을까', 항상 이성적으로 생각했을 때 옳다고 생각하는 길로만 갈 수 있을까 등을 고민하면서 보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장면들을 보다 보니 주인공 장태상이 초반에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던 모습에서 점점 변해가는 모습을 보며 뭉클한 마음도 들었다.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할 때, 호불호가 갈린다는 평을 듣기도 했지만 여전히 최근 본 넷플릭스 드라마 중 인상 깊은 드라마라고 추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