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48

Zustand 핵심 로직 완전 정복 (2편): middleware 지난 Zustand 핵심 로직 정복 1편에서 다뤘던 'createStore부터 React 연동까지'에 이어, 2편을 가지고 왔습니다. 2편을 읽는데에 1편의 로직을 읽는 것이 도움이 되니, 혹시 2편을 읽다가 'createStore가 그래서 어떻게 돌아가는건데?'라는 의문점을 가지게 되신 분들은 1편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5.06.28 - [개발] - Zustand 핵심 로직 완전 정복 (1편): createStore부터 React 연동까지 Zustand 핵심 로직 완전 정복 (1편): createStore부터 React 연동까지Zustand는 React 생태계에서 가볍고 직관적인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Zustand의 핵심 로직을 직접 분석하며.. 2025. 8. 30.
AI 기반 테스트 코드 작성 가이드 –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 개발자라면 한 번쯤은 테스트 코드에 대해 고민해 본 적이 있을 겁니다.“테스트는 꼭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고,“테스트 짤 시간에 한 번 더 눈으로 확인하면 되지 않나?”라는 말도 자주 들리죠.테스트 코드는 분명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지켜주는 중요한 장치입니다.하지만 직접 작성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엣지 케이스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AI를 활용하면 테스트 작성이 훨씬 빠르고, 부담은 줄어들면서도 다양한 케이스들을 꼼꼼하게 커버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제가 생각하는 테스트 전략과, AI로 어떻게 테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아래 글에서는 제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를 기준으로 설명할 예정입니다. 라이브러리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며, 각각의 테스트를 어떤 목.. 2025. 8. 26.
Zustand 핵심 로직 완전 정복 (1편): createStore부터 React 연동까지 Zustand는 React 생태계에서 가볍고 직관적인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Zustand의 핵심 로직을 직접 분석하며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createStore 함수의 동작 원리를 중심으로, 상태가 어떻게 업데이트되고 구독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집중하였습니다.✅ 학습 목표Zustand의 createStore 함수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완전히 이해합니다.⚒️ 분석 방법Zustand 실제 사용 코드를 기반으로 역으로 분석했습니다. create 코드를 정의하는 곳을 찾은 후, 연관된 코드를 분석하여 핵심 로직을 파악했습니다.🤔 분석 과정Zustand에서 상태를 만들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패턴은 아래와 같습니다.import { create } from 'zus.. 2025. 6. 28.
[함수형 코딩] 반응형 아키텍처와 어니언 아키텍처 (+ 짧은 책 후기) 반응형 아키텍처와 어니언 아키텍처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따로 혹은 같이 사용도 가능한 아키텍처이다. 책에 나온 내용과 이에 더해 내 생각을 덧붙여 정리해보려고 한다.반응형 아키텍처책에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하자면, 반응형 아키텍처는 순차적 액션의 순서를 뒤집으며, 효과와 원인을 분리하여 코드에 복잡하게 꼬인 부분을 풀 수 있다고 한다.하지만 이 내용만을 읽었을 때는 "그래서 뭐라는거야?"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사실 몇 가지의 말보다는 뒤에서 나오는 예시들을 보며 "이런거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던만큼, 반응형 아키텍처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었던 예시 코드를 공유한다.function ValueCell(initialValue) { var currentValue = initialValue; .. 2025. 6. 2.
[함수형 코딩] 비동기 타임 라인 컨트롤 앞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던 내용이 암묵적 인자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앞선 내용을 읽으면서 유지 보수를 위해, 그리고 예측 가능한 코드를 만들기 위해 암묵적 인자를 줄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번 챕터를 읽으면서는 유지 보수나 DX적인 부분을 넘어서, 안정적인 코드를 유지하기 위해 암묵적 코드들을 최소화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비동기는 타임라인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그나마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이기 때문에 덜 할 수 있지만 멀티 스레드를 가지고 있는 언어일수록 더욱 타임라인을 예측하기가 어렵고 순서를 의도대로 유지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때문에 최대한 순서를 예측 가능하게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순서가 예측한대로 흘러가지 않더라도 버그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책에서 가.. 2025. 5. 21.
2025 프론트엔드 3년차 경력직 면접 질문 정리 (+ 실전 팁) 작년 11월 말, 첫 회사를 퇴사하고 본격적인 이직 준비를 시작했다.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완성한 후 총 118군데의 회사에 지원했고, 코딩테스트/사전과제 등을 거쳐 총 16곳의 회사에서 면접 제안을 받았다. 그리고 현재 최종적으로 한 회사를 선택하여 출근을 하게 됐다.이직 준비를 하며 느꼈던 점들은 별도의 글로 정리하기로 하고, 이번 글에서는 1,2차 면접을 진행하며 받았던 질문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개인적으로 면접을 보면서 많이 성장했다고 생각하는데, 프로젝트를 하며 미처 신경 쓰지 못했던 부분들, 그리고 프론트엔드 트렌드 중 몰랐던 부분들은 채울 수 있던 기회였다. 혹시나 현재 나와 비슷한 연차를 가지고 있고 면접을 준비 중이라면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면접 질문 유형 분류면접 질문을 다음 .. 2025. 5. 11.
반응형